이수정
불신과 불확실성의 시대, 무엇을 믿고, 어떻게 스스로를 지킬 것인가 <이수정,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불신과 불확실성의 시대, 무엇을 믿고, 어떻게 스스로를 지킬 것인가 <이수정,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2019.06.26불신과 불확실성의 시대, 무엇을 믿고, 어떻게 스스로를 지킬 것인가. 이수정(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의사소통에서 음성언어와 같은 언어적 내용만큼 중요한 것은 표정이나 손짓 같은 비언어적 형식이다. 예를 들어, 친절한 어조로 웃음을 띄며 욕을 하거나, 반대로 화난 표정으로 친절한 말을 건넬 때, 듣는 사람은 말의 내용보다 표정이나 어투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뉴스에서도 내용이 충분한 조사와 객관적 자료에 기반하였는가 하는 사실만큼, 사람들이 ‘객관적’이라고 믿는 형식을 갖출 때, 사람들은 내용을 쉽게 믿는다. 언론이 실업률이나 집값상승률 등 자극적인 내용을 다룰 때, 자주 등장하는 통계나 수치 역시 어떻게 읽고, 어떤 관점에서 분석하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더 극단적..